본문 바로가기
데이터 분석/Kaggle

House Price (1) - 데이터 설명

by 너굴맨_ 2021. 12. 20.

House Prices

데이터는 kaggle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SalesPrice(판매가) 및 건물에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이 나타나 있는 데이터이며 위 데이터의 주 분석 목적은 판매가격을 예측하는 것이다.

- 데이터 출처

https://www.kaggle.com/c/house-prices-advanced-regression-techniques/data

 

House Prices - Advanced Regression Techniques | Kaggle

 

www.kaggle.com

 

- 데이터 필드

총 1460개 행과 81개의 열로 구성된 데이터로 id와 salesprice(종속변수)를 제외하더라도 79개의 독립변수가 존재한다.

 

더 자세히 변수를 설명하자면

  • SalePrice - 건물의 가격
  • MSSubClass: 건물 유형 -1층, 2층
  • MSZoning: 건물의 구역 분류 - 농촌, 도시
  • LotFrontage: 도로 변까지의 거리
  • LotArea: 부지 면적
  • Street: 도로 진입로 -자갈, 포장된 길 
  • Alley: 골목 진입로 -자갈, 포장된 길, Na
  • LotShape: 건물의 일반적 형태 
  • LandContour: 건물의 평탄 정도
  • Utilities: 유틸리티 - 전기, 가스, 물, 정화조와 관련된 유틸리티 제공
  • LotConfig: 건물의 배치형태
  • LandSlope: 건물 부지의 경사도
  • Neighborhood: Ames 도시의 시내 위치
  • Condition1: 주요 도로와 접근성
  • Condition2: 주요 도로와 접근성 (2개 이상인 경우)
  • BldgType: 주거 유형 -1인, 2인, 다인 가구
  • HouseStyle: 건물 스타일 - 1층구조, 2층 구조, 반지하 2층구조 등
  • OverallQual: 전반적인 마감 품질
  • OverallCond: 전반적인 상태
  • YearBuilt: 건축년도
  • YearRemodAdd: 리모델링년도
  • RoofStyle: 지붕 형태
  • RoofMatl: 지붕 소재
  • Exterior1st: 외부 소재
  • Exterior2nd: 외부 소재2
  • MasVnrType: 외장재 타입
  • MasVnrArea: 외장재 면적
  • ExterQual: 외장재 품질
  • ExterCond: 외장재 상태
  • Foundation: 건물 뼈대 소재
  • BsmtQual: 지하실 높이
  • BsmtCond: 지하실 상태
  • BsmtExposure: 화단의 상태
  • BsmtFinType1: 타입 1의 지하실 완료 비율
  • BsmtFinSF1: 타입1의 완료된 면적
  • BsmtFinType2: 타입 2의 지하실 완료 비율 (존재하는 경우)
  • BsmtFinSF2: 타입2의 완료된 면적
  • BsmtUnfSF: 미 완료된 지하실의 비율
  • TotalBsmtSF: 총 지하실의 크기
  • Heating: 난방 유형
  • HeatingQC: 난방 상태
  • CentralAir: 중앙 에어컨 설치 유무
  • Electrical: 전기 시스템 유형
  • 1stFlrSF: 1층 면적
  • 2ndFlrSF: 2층 면적
  • LowQualFinSF: 전 층의 저품질로 완료된 면적
  • GrLivArea: 지상 거주 면적
  • BsmtFullBath: 지하실의 화장실
  • BsmtHalfBath: 지하실의 작은 화장실
  • FullBath: 화장실의 품질
  • HalfBath: 작은 화장실의 품질
  • Bedroom: 침실 수
  • Kitchen: 부엌 수
  • KitchenQual: 부엌 상태
  • TotRmsAbvGrd: 총 방의 수 (단 화장실 제외)
  • Functional: 건물 기능 평점
  • Fireplaces: 벽난로 수
  • FireplaceQu: 벽난로 상태
  • GarageType: 차고 유형
  • GarageYrBlt: 차고 건축년도
  • GarageFinish: 차고 인테리어 상태
  • GarageCars: 차고 차 수용력
  • GarageArea: 차고 크기
  • GarageQual: 차고 품질
  • GarageCond: 차고 상태
  • PavedDrive: 도로 포장 상태
  • WoodDeckSF: 나무 덱 면적
  • OpenPorchSF: 오픈된 현관 면적 
  • EnclosedPorch: 둘러싸인 현관 면적
  • 3SsnPorch: 반 오픈형 현관 면적
  • ScreenPorch: 닫힌 상태 현관 면적
  • PoolArea: 수영장 면적
  • PoolQC: 수영장 상태
  • Fence: 울타리 상태
  • MiscFeature: 부가 요소
  • MiscVal: 부가 요소 가치
  • MoSold: 판매 월
  • YrSold: 판매 년도
  • SaleType: 판매 유형
  • SaleCondition: 판매 조건

- 분석 전 개인적인 생각

아직 분석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래의 요소들이 집값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.

건물 유형, 건물 구역분류, 도로 변까지의 거리, 전반적인 상태, 유틸리티, 지상 거주 면적, 판매조건, 수영장 면적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