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월별 출생건수2

월별 출생건수(3) - 관련 요소 살펴보기 월별 출생건수 (1)과 (2)에서 알게된 정보를 바탕으로 월별 출생과 관련된 데이터 (월별 평균온도, 혼인신고 데이터)가 얼마나 상관이 있고 설명력을 갖고 있는 지 알아보자. - 사용 데이터 한국 월별 출생아 수 데이터 앞선 (1)에서 설명한 UN에서 제공하는 국가별 출생수 데이터로 이번 분석의 목표인 출산 시기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이므로 임신한 달에 맞춰 데이터를 변환 2015년 ~ 2019년도 월별 평균 기온 기상청에서 수집한 데이터로 위 년도에 맞춘 평균 기온이 적시됨[1] 혼인 건수 데이터 월별 출생아수와 관련이 있어보이는 데이터로 아래와 같이 수집 산점도 임신한 달과의 상관 관계가 있는 지 산점도를 통해 확인하자 - 온도와 월별 임신한 수의 산점도 위 산점도를 살펴보면 큰 상관관계.. 2022. 1. 11.
월별 출생건수 (2) - 외국 사례 월별 출생건수 (1)에 이어 한국 사례가 아닌 외국 사례를 살펴보자 (1)에서 활용한 코드를 그대로 데이터만 변경하여 진행하였으며 살펴볼 국가로는 미국, 일본, 독일, 필리핀, 남아프리카, 브라질, 호주를 선택하여 진행함. ( 중국, 인도는 UN에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제외) - 미국 미국은 7월부터 9월에 태어나는 아이가 제일 많으며 2월, 4월이 제일 적게 태어났다. 또한 8월과 2월의 태어난 아이의 차이는 무려 30만으로 큰 차이가 보인다. 임신하는 달의 측면으로 보았을 때 11월이 제일 많았으며 특징으로 10월부터 1월 즉 연말에 많이 몰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. - 일본 일본도 미국과 비슷하게 7월부터 10월에 태어나는 아이가 많았으며 2월에 태어난 아이의 수가 비교적 적다는 것을 확인할.. 2022. 1. 8.